본문 바로가기
AI이야기

LLM 평가, 왜 어려울까요? 핵심 문제와 해결 방안 파헤치기

by logbe1 2024. 11. 21.

LLM이 점점 더 발전하면서 우리 생활 곳곳에 스며들고 있지만, 사실 LLM의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는 건 쉽지 않아요. 왜 그럴까요? 마치 똑똑한 강아지가 멋진 재주를 부리는 모습을 보며 "와, 정말 똑똑하다!"라고 감탄하지만, 그 강아지가 얼마나 똑똑한지, 어떤 부분에서 뛰어난지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것과 비슷해요. LLM도 마찬가지에요. 겉으로 보기에는 멋진 답변을 술술 내놓는 것 같지만, 그 안에 숨겨진 복잡한 문제들을 제대로 파악하고 평가하기란 쉽지 않아요.

LLM 평가는 마치 깊은 바닷속을 탐험하는 것과 같아요. 겉으로 보이는 아름다운 산호초만큼이나, 그 아래 숨겨진 복잡하고 미지의 세계가 존재하죠.  LLM의 성능을 제대로 평가하려면 이러한 복잡한 요소들을 하나하나 꼼꼼하게 살펴봐야 해요. 그럼 LLM 평가를 어렵게 만드는 주요 요소들을 자세히 들여다볼까요?

 


LLM 평가의 복잡성: 다양한 측면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요?

LLM의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려면, 명확한 기준을 세우고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해요. 하지만 LLM은 인간처럼 생각하고 느끼는 게 아니라,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패턴을 인식하고 문장을 생성하는 거라서 평가 기준을 정하는 게 쉽지 않아요. 게다가, LLM의 능력은 한국어 이해 및 사용 능력, 추론 능력, 지식 기반 질문 대응 능력 등 매우 다양한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더욱 어려워지죠.

 


1. 평가 기준의 설정: LLM이 이해하고 인간의 피드백을 반영하는 기준을 어떻게 만들까요?

LLM의 성능을 제대로 평가하려면, LLM이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인간의 피드백을 반영하는 명확하고 객관적인 기준이 필요해요.  하지만, LLM은 인간처럼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이 생각하는 기준을 LLM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찾는 게 중요해요.

 

예를 들어, LLM이 문맥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 평가하려면, 다양한 상황과 맥락을 담은 질문을 던져보고, LLM의 답변이 얼마나 적절하고 자연스러운지 판단해야 해요.  또, LLM이 생성한 텍스트가 얼마나 창의적인지 평가하려면, 독창성, 유창성, 적절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해요. 하지만, 이러한 평가 기준을 객관적으로 정의하고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죠.

 


2. 주관성과 객관성: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는 LLM의 능력을 어떻게 객관적으로 평가할까요?

LLM의 성능을 평가할 때,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LLM의 답변이 매우 창의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죠. 이처럼 LLM 평가는 주관적인 요소가 개입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객관적인 데이터와 성과 지표를 기반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해요.

 

시간이 지남에 따라 LLM의 성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추적하고 비교하는 것도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마, LLM의 학습 데이터나 알고리즘이 변경되면 성능 비교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해요.

 


3. 다양한 평가 포인트: LLM의 능력을 다각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LLM의 능력은 한국어 이해 및 사용 능력, 추론 능력, 지식 기반 질문 대응 능력 등 매우 다양한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LLM이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추론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다양한 지식을 활용하여 질문에 답변할 수 있는지 등을 평가해야 해요.

 

특히, 한국어 능력을 평가할 때는 문법, 어휘, 표현 방식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해요. 또한, LLM이 사회적으로 민감한 주제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혹시 편향된 답변을 생성하지는 않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죠.

 


4. 문제 해결 능력: LLM이 겪는 어려움, 환각과 편향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LLM은 아직 완벽하지 않아요. 때때로 사실이 아닌 정보를 사실인 것처럼 생성하는 '환각(hallucination)' 문제를 겪거나, 사회적으로 민감한 발언을 생성하기도 해요. 이러한 문제들은 LLM의 학습 데이터나 알고리즘에 존재하는 편향(bias) 때문에 발생할 수 있어요.

 

물론, 환각 문제와 편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완벽한 해결책은 마련되지 않았어요. LLM의 성능을 평가할 때, 이러한 문제들을 얼마나 잘 해결하는지도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되고 있죠.

 


5.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어떤 질문을 어떻게 해야 LLM의 능력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까요?

LLM의 능력은 프롬프트(Prompt), 즉 LLM에게 주는 질문이나 지시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효과적인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것은 LLM의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데요, 프롬프트가 명확하고 구체적일수록 LLM은 더욱 정확하고 유용한 답변을 생성할 수 있거든요.

 

예를 들어, "서울의 인구는 몇 명인가요?"와 같은 간단한 질문보다는, "서울의 인구는 최근 10년 동안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설명해주세요"와 같은 구체적이고 복잡한 질문을 통해 LLM의 능력을 더욱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어요.

 


LLM 평가 방법: 어떻게 하면 LLM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까요?

LLM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어요.

 


1. 벤치마크 데이터셋 활용: 표준화된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LLM을 평가해요.

벤치마크 데이터셋은 LLM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만들어진 표준화된 데이터셋이에요.  다양한 유형의 질문과 답변 쌍으로 구성되어 있어, LLM이 이러한 질문에 얼마나 잘 답변하는지 평가할 수 있게 해주죠.

 

예를 들어, KorQuAD나 KLUE와 같은 한국어 벤치마크 데이터셋을 사용하면, LLM의 한국어 독해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요.

 


2. 인간 평가자 활용: 사람이 직접 LLM의 답변을 평가해요.

LLM의 답변을 인간 평가자가 직접 읽고 평가하는 방법도 널리 사용되고 있어요.  평가자들은 LLM의 답변이 얼마나 정확하고, 유용하며, 적절한지 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LLM의 성능을 평가하죠.

 


3. 자동 평가 지표 활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LLM의 답변을 평가해요.

BLEU, ROUGE와 같은 자동 평가 지표를 사용하면, LLM이 생성한 텍스트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요.  이러한 지표들은 LLM이 생성한 텍스트와 참조 텍스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LLM의 답변이 얼마나 정확하고 자연스러운지 평가하죠.

 


4. Mixed Evaluations: 여러 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LLM을 평가해요.

위에서 설명한 벤치마크 데이터셋, 인간 평가자, 자동 평가 지표 등을 조합하여 LLM을 평가하는 Mixed Evaluations 방식도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각 방법의 장단점을 보완하고, LLM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LLM 평가의 미래: 앞으로 어떻게 LLM을 더 잘 평가할 수 있을까요?


LLM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LLM이 활용되는 분야도 점점 더 넓어지고 있어요.  이에 따라, LLM의 성능을 더욱 정확하고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죠.

 


1. LLM의 설명 가능성 향상: LLM이 어떻게 답변을 생성하는지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해요.

LLM이 어떻게 답변을 생성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LLM을 더 잘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해 매우 중요해요.  설명 가능한 AI(Explainable AI) 기술을 활용하여 LLM의 내부 동작 과정을 분석하고, LLM이 어떤 근거를 바탕으로 답변을 생성했는지 파악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죠.

 


2. 인간-LLM 상호 작용 고려: LLM과 인간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

LLM은 점점 더 인간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어요.  LLM과 인간의 상호 작용을 분석하고, 인간이 LLM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LLM의 답변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파악하는 것은 LLM을 더욱 개선하고,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이에요.

 


3. 다양한 분야별 평가 기준 개발: 특정 분야에 적합한 평가 기준을 개발해야 해요.

LLM은 의료, 교육,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요.  각 분야마다 LLM에 요구되는 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각 분야에 적합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그 기준에 따라 LLM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해요.

 


4. LLM의 사회적 영향 고려: LLM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평가 기준이 필요해요.

LLM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술이에요.  LLM이 생성하는 텍스트가 사회적 편견이나 차별을 조장하지 않는지, 그리고 LLM이 오용될 가능성은 없는지 등을 고려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해요.

 


LLM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척도 개발

LLM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은 LLM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고, LLM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확성(Accuracy) LLM이 생성한 답변이 얼마나 정확한지 측정합니다.
유창성(Fluency) LLM이 생성한 텍스트가 얼마나 자연스럽고 매끄러운지 측정합니다.
관련성(Relevance) LLM이 생성한 답변이 질문과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 측정합니다.
독창성(Originality) LLM이 생성한 텍스트가 얼마나 독창적인지 측정합니다.
정보성(Informativeness) LLM이 생성한 답변이 얼마나 유용하고 정보가 풍부한지 측정합니다.
적절성(Appropriateness) LLM이 생성한 답변이 상황에 적합한지 측정합니다.
편향성(Bias) LLM이 생성한 답변에 편향이 있는지 측정합니다.
해석력(Interpretability) LLM이 생성한 답변의 근거를 얼마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지 측정합니다.

척도 설명

 

QnA

Q1. LLM의 환각(hallucination)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A1. LLM의 환각 문제는 LLM이 학습한 데이터에 오류나 편향이 존재하거나, LLM의 추론 능력이 부족할 때 발생할 수 있어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LLM의 학습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키고, LLM의 추론 능력을 개선하는 연구가 필요해요. 또한, LLM이 생성한 답변을 검증하고, 오류를 수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죠.

 

Q2. LLM의 편향(bias)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A2. LLM의 편향 문제는 LLM이 학습한 데이터에 존재하는 편향이 LLM에 반영될 때 발생할 수 있어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LLM의 학습 데이터를 다양화하고, 편향된 데이터를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해요. 또한, LLM이 생성하는 답변을 모니터링하고, 편향된 답변을 수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죠.

 

Q3. LLM 평가는 왜 중요한가요?

 

A3. LLM 평가는 LLM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LLM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데 필수적이에요. 또한, LLM이 다양한 분야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죠. LLM 평가를 통해 LLM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LLM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요.

 

마무리

 

LLM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앞으로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LLM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LLM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

 

키워드

LLM, 대규모언어모델, 인공지능, AI, 머신러닝, 딥러닝, 자연어처리, NLP, 환각, 할루시네이션, 편향, Bias, 프롬프트엔지니어링, 벤치마크, 데이터셋, 인간평가, 자동평가, MixedEvaluations, 설명가능한AI, ExplainableAI, 사회적영향, 윤리, 책임감, 기술발전, 미래기술, HuggingFace, KorQuAD, KLUE, 한국어, 한국어처리, 데이터과학, 정보검색, 챗봇, 챗GPT, 검색엔진, 데이터분석, 데이터베이스, TAG, TableAugmentedGeneration, 텍스트SQL, R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