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이야기

토큰 임베딩, BERT로 자연어 처리 핵심 이해하기: AI 모델의 비밀 풀기

by logbe1 2024. 10. 5.

자연어 처리(NLP)에서 컴퓨터가 사람의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가 바로 토큰 임베딩(Token Embedding)입니다. 쉽게 말해, 단어나 문장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숫자 형태, 즉 벡터로 바꾸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 과정을 통해 컴퓨터는 단어와 문장 사이의 의미적인 관계를 파악하고, 다양한 자연어 처리 태스크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됩니다.

어떻게 하면 단어를 벡터로 바꿀 수 있을까요? 🤔 그리고 이렇게 벡터로 변환된 단어들은 어떤 식으로 활용될까요? 이 글에서는 토큰 임베딩의 개념부터 다양한 방법, 그리고 자연어 처리에서의 활용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ERT를 이해하기 위한 토큰 임베딩의 기초

컴퓨터는 숫자만 이해할 수 있어요. 그래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 즉 텍스트 데이터를 컴퓨터가 이해하려면 숫자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때, 단순히 단어를 숫자로 바꾸는 것만으로는 부족해요.

예를 들어, "사과"와 "배"라는 단어는 서로 다른 숫자로 표현될 수 있지만, 둘 다 "과일"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죠. 컴퓨터가 이러한 의미적인 관계를 파악하려면 단순한 숫자 표현을 넘어, 단어의 의미를 담은 벡터 공간으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토큰 임베딩이 필요한 거예요. 토큰 임베딩은 단어나 문장의 의미를 벡터 공간에 담아, 컴퓨터가 단어 간의 유사성, 관계, 그리고 문맥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토큰 임베딩의 주요 방법들

토큰 임베딩을 수행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몇 가지 방법들을 살펴볼까요?

원-핫 인코딩 (One-hot encoding)

가장 기본적인 토큰 임베딩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원-핫 인코딩입니다. 이 방법은 단어 집합의 크기를 차원으로 하는 벡터를 만들고, 해당 단어의 위치에만 1을, 나머지에는 모두 0을 할당하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사과", "배", "바나나" 세 가지 단어로 이루어진 단어 집합이 있다고 가정해 볼게요. 그러면 각 단어는 다음과 같은 벡터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단어 벡터
사과 [1, 0, 0]
[0, 1, 0]
바나나 [0, 0, 1]

원-핫 인코딩은 구현이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지만, 단어 간의 의미적 관계를 전혀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요. 즉, "사과"와 "배"는 서로 다른 벡터로 표현되기 때문에, 컴퓨터는 둘 다 "과일"이라는 공통점을 알 수 없습니다.

워드 임베딩 (Word embedding)

원-핫 인코딩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워드 임베딩입니다. 워드 임베딩은 단어의 문맥적 의미를 고려하여 저차원의 밀집 벡터로 표현하는 방법이에요.

Word2Vec, GloVe, FastText와 같은 알고리즘을 통해 단어들이 서로 얼마나 가까운 의미를 가지는지, 즉 유사도를 반영한 벡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과"와 "배"는 워드 임베딩을 통해 유사한 벡터로 표현될 수 있고, 컴퓨터는 둘 다 "과일"이라는 공통점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거죠.

문장 임베딩 (Sentence embedding)

단어뿐만 아니라 문장 전체를 하나의 벡터로 표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바로 문장 임베딩이에요. 문장 임베딩은 문장에 포함된 단어들의 의미와 문맥을 종합하여 하나의 벡터로 표현합니다.

평균 풀링(Average Pooling), 최대 풀링(Max Pooling), 순환 신경망(RNN)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문장의 의미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토큰 임베딩의 활용

토큰 임베딩은 자연어 처리 태스크에서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 텍스트 분류(Text Classification): 스팸 메일 필터링, 감정 분석 등과 같이 텍스트 데이터를 분류하는 작업에 사용됩니다.
  • 기계 번역(Machine Translation): 한 언어로 된 문장을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작업에 사용됩니다.
  • 챗봇(Chatbot): 사용자와 대화하는 챗봇의 응답 생성에 사용됩니다.
  • 질의응답(Question Answering):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는 작업에 사용됩니다.

특히 BERT와 같은 최신 언어 모델들은 토큰 임베딩을 기반으로 놀라운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BERT는 WordPiece 토크나이저를 사용하여 낯선 단어(Out-of-Vocabulary)도 처리할 수 있으며, 문맥을 고려한 양방향 임베딩을 통해 다양한 자연어 처리 태스크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요.

BERT: 토큰 임베딩을 넘어, 문맥까지 이해하는 언어 모델

BERT의 등장: 문맥을 이해하는 혁신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는 구글에서 발표한 문맥(Context)을 고려한 토큰 임베딩 모델입니다. 기존의 Word2Vec과 같은 임베딩 모델들은 단어의 문맥을 고려하지 않고 단어 자체의 의미만을 벡터로 표현했어요.

하지만 BERT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라는 신경망 구조를 기반으로 문장 전체의 문맥을 고려하여 토큰을 임베딩합니다.

왜 문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까요? 🤔

같은 단어라도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은행"이라는 단어는 "금융기관"을 의미할 수도 있고, "나무"를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BERT는 이러한 다의어(Polysemy) 문제를 해결하고, 문맥에 맞는 단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BERT의 작동 방식: 트랜스포머 인코더를 활용

BERT는 트랜스포머 모델의 인코더(Encoder) 부분만을 사용합니다. 인코더는 입력 문장을 받아 각 토큰의 의미를 담은 벡터 표현을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BERT는 여러 개의 인코더 레이어를 쌓아서 문맥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습니다. 각 인코더 레이어는 셀프 어텐션(Self-Attention) 메커니즘을 통해 입력 문장의 모든 토큰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문맥 정보를 토큰의 벡터 표현에 반영합니다.

BERT의 구조: 다양한 크기와 구성

BERT는 BERT-base와 BERT-large와 같은 다양한 크기의 모델로 제공됩니다.

모델 레이어 어텐션 헤드 은닉 유닛
BERT-base 12 12 768
BERT-large 24 16 1024

각 모델은 레이어 수, 어텐션 헤드 수, 은닉 유닛 수가 다르며, 이에 따라 성능과 계산량이 달라집니다.

BERT의 입력 표현: 토큰, 세그먼트, 위치 임베딩

BERT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임베딩 레이어를 사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임베딩으로 변환합니다.

임베딩 레이어 역할
토큰 임베딩(Token Embedding) 각 토큰을 벡터로 표현
세그먼트 임베딩(Segment Embedding) 여러 문장을 구분
위치 임베딩(Position Embedding) 토큰의 위치 정보를 반영

토큰 임베딩은 앞서 설명한 워드 임베딩과 유사하며, 각 토큰을 벡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세그먼트 임베딩은 BERT가 여러 문장을 입력으로 받을 때, 각 문장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위치 임베딩은 토큰의 순서 정보를 반영하여 문맥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BERT의 토크나이저: WordPiece

BERT는 WordPiece라는 특별한 토크나이저를 사용합니다. WordPiece는 단어를 작은 단위(Subword)로 나누어 토큰화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예를 들어 "running"이라는 단어는 "run"과 "##ing"으로 나뉘어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낯선 단어나 긴 단어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BERT의 활용: 다양한 자연어 처리 태스크

BERT는 다양한 자연어 처리 태스크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줍니다.

  • 텍스트 분류: 감정 분석, 주제 분류 등
  • 질의응답: 질문에 대한 답변 찾기
  • 기계 번역: 언어 간 번역
  • 텍스트 생성: 문장 생성, 요약 등

BERT는 사전 훈련된 모델로 제공되기 때문에, 특정 태스크에 맞춰 미세 조정(Fine-tuning)만 하면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무리

토큰 임베딩은 자연어 처리에서 컴퓨터가 사람의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기술입니다. BERT와 같은 최신 언어 모델은 토큰 임베딩을 기반으로 문맥까지 고려하여 더욱 뛰어난 성능을 보여줍니다.

앞으로 자연어 처리 분야는 더욱 발전하고, 토큰 임베딩과 BERT와 같은 기술들은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Q1. 토큰 임베딩은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 게 좋을까요?

A1.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처리해야 하는 대부분의 자연어 처리 태스크에서 토큰 임베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단어 간의 의미적 관계를 파악하거나, 문맥을 고려해야 하는 작업에 유용합니다.

Q2. BERT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A2. BERT는 사전 훈련된 모델로 제공되기 때문에, 특정 태스크에 맞춰 미세 조정(Fine-tuning)만 하면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분류, 질의응답, 기계 번역 등 다양한 자연어 처리 태스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Q3. 토큰 임베딩과 워드 임베딩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3. 토큰 임베딩은 단어, 문장, 서브워드 등 다양한 단위를 벡터로 표현하는 일반적인 개념입니다. 워드 임베딩은 토큰 임베딩의 한 종류로, 단어를 벡터로 표현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토큰, 임베딩, 자연어처리, NLP, BERT, 워드임베딩, 문장임베딩, 원핫인코딩, 트랜스포머, 셀프어텐션, WordPiece, 문맥, 단어벡터, 벡터표현, 기계학습, 딥러닝, AI, 인공지능, 자연어이해, 텍스트분석, 텍스트처리, 데이터과학, 머신러닝, 자연어모델, 언어모델, 텍스트마이닝, 자연어처리기술, 자연어분석,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포스트 더 보기

2024.09.26 - [분류 전체보기] - 챗GPT 시대, 한국어 토큰화의 비밀: 인공지능이 한국어를 이해하는 방법

 

챗GPT 시대, 한국어 토큰화의 비밀: 인공지능이 한국어를 이해하는 방법

챗GPT, 뭐든지 척척 해내는 똑똑한 인공지능이죠? 그런데 챗GPT 같은 인공지능이 한국어를 이해하고 처리하려면 넘어야 할 산이 하나 있어요. 바로 토큰화(Tokenization)라는 녀석인데, 이게 왜 쉬운

logbe1.tistory.com